본문 바로가기
경제지식

일용직 퇴직금 계산방법 지급기준, 중간정산, 세금 관련 총정리

by ♡^_^♡ 2021. 6. 23.

퇴직금이란 특정 사업장에서 근속한 근로자가 퇴사할 경우 근로관계의 종료를 사유로 사용자가 일시 지급금을 받습니다. 쉽게 말해서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는 퇴직 급여인데요. 많은 분들이 퇴직금 계산방법을 알지 못해서 불이익을 겪는 일도 있다고 해서 지금부터 퇴직금 계산방법, 지급기준, 중간 정산, 세금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퇴직금 계산방법

퇴직금 계산방법은 간단합니다. 일 평균 임금에서 30일을 곱한 값에 재직일수를 곱한 뒤 365일로 나눠 주시면 예상 퇴직금을 계산해볼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계산하는데 조금은 복잡하다고 느낄 수가 있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간단하게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하셔서 계산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해보실수가 있습니다. 

 

▶️ 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 

 

우리가 퇴직시 받을 수 있는 금액에 대해서 미리 계산해볼 수도 있습니다. 다만, 퇴직금으로 인한 소득도 과세 대상이기 때문에 실제 수령액과는 조금의 차이가 있다는 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퇴직금 지급기준 및 지급기한

퇴직금 지급기준은 근속 기간, 근무시간, 근속형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년 이상 근무, 1주에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한 분들은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됩니다. 정규직과 계약직의 구분 없이 지급 기준만 충족된다면 누구나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근로자에 해당하는 사람만 해당이 됩니다. 일을 하면 모두가 근로자라고 생각하실수 있는데 사업장이 가족들만 구성되어 있는 곳에서 일을 하거나 부모님께 돈을 받고 집안 살림을 하는 경우에는 근로자와 사업주의 정상적인 관계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근로자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퇴직금 지급기한

퇴직금 지급 기한은 서류상 퇴사가 확정이 된 후 14일 이내로 지급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특별한 사유가 있어서 고용주와 근로자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면 퇴직금 지급 기한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의 합의 없이 일방적인 연장은 노동부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또는 퇴직금을 못 받은 채 3년이 경과해버리면 퇴직금을 지급받을 권리가 소멸되기때문에 고용주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노동부에 바로 문의를 하셔야 합니다. 

 

고용노동부 콜센터 1350

퇴직금 중간정산

퇴직금은 퇴직할때 지급을 받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회사를 그만두지 않은 경우에도 퇴직금 중간정산을 받으실 수가 있습니다.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1. 무주택자의 주택 구입

2. 무주택자의 전세금, 보증금 부담

3. 6개월 이상 요양이 필요한 친족의 의료비 부담

4. 파산, 개인회생 절차를 받은 경우

5. 자연재해로 인해 근로자나 가족이 피해를 입은 경우 

 

위와 같은 사유로 중간정산을 받을수 있지만 근로자가 중간 정산을 신청했을 때 사업주가 반드시 승인을 해야 할 의무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청 이전에 사업장 HR팀이나 인사 담당자에게 확인을 먼저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퇴직금 세금계산

퇴직금은 세금이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근로자가 퇴직금을 받은 후 별도로 내야할 세금은 없습니다. 퇴직금 세금은 개인의 소득 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고, 세금을 계산하는 공식이 있지만 일반인들이 공식에 따라 계산하기에는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세청의 퇴직 소득 세액 계산 프로그램으로 편리하게 세금을 계산해 보실수 있습니다.

일용직 퇴직금 계산방법

건설업종 일용직 노동자나 배달 종사자분들도 지급 조건을 충족한다면 퇴직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고용 유지 기간이 조건이 됩니다. 1년 이상 고용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주 평균 15시간 이상을 근무했을 경우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받을 권리가 발생됩니다.

 

지금까지 퇴직금 계산방법 및 지급기준, 세금, 지급기한 등에 대해서 정리를 해드렸습니다. 퇴직금 중간정산 같은경우에는 사업장에 반드시 먼저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더 많은 정보 알아보기 

 

[금융지식/경제지식] - 근로자 해고 시 예고 의무, 해고예고수당 계산 방법

 

[금융지식] - 연차발생기준 계산법 알아볼게요

 

[금융지식/경제지식] - 개인사업자 세금 절세 똑똑하게 해결하는 방법

 

댓글